바르수볼라드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수볼라드 칸은 1484년에 태어난 몽골의 군주로, 다얀 카안의 셋째 아들이다. 1512년 진왕에 올라 오르도스 투멘을 영유했으며, 1524년 다얀 카안 사후에는 스스로 대칸으로 즉위했으나 보디 아라크 칸에게 양위했다. 1531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군 빌리크 메르겐 진왕이 뒤를 이었다. 그는 오이라트족과의 전쟁에서 용맹함을 떨쳤으며, 알탄 칸의 아버지로 몽골 역사에 중요한 인물이다.
다얀 칸 사후, 그의 셋째 아들 바르수볼라드 지농은 스스로 대칸을 칭하며, 다얀 칸이 후계자로 지명한 손자 보디 알라그 칸이 너무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거대한 몽골 제국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세기 동안의 싸움 이후 만두하이 카툰과 다얀 칸의 통치 기간 동안 달성된 통일과 번영이 사라질 것을 우려하는 몽골인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고, 보다 경험 많은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여겼다.[6]
2. 생애
그러나 3년 후, 보디 알라그 칸은 그의 또 다른 숙부(다얀 칸의 넷째 아들)와 동맹을 맺고 바르수볼라드 지농에게 도전했다. 양측은 동족 간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타협했고, 바르수볼라드 지농은 왕관을 포기하고 보디 알라그 칸이 몽골의 새로운 대칸이 되었다. 몽골 대칸의 왕관을 잃은 것은 바르스볼라드 지농에게 큰 충격이었고, 그는 곧 사망했다.[5] 그는 알탄 칸의 아버지였으며, 알탄 칸은 북원 제국의 위대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바르수볼라드는 아버지의 오이라트 및 기타 몽골 세력과의 전쟁에서 용맹함과 뛰어난 군사적 기술로 널리 알려졌다.
1508년, 형인 우루스 볼라트 진왕이 우익의 이바라이(이브라힘) 태사, 만두라이 아하라프 등에게 살해당하자, 바르스 볼라트 일가는 우익을 탈출하여 좌익에 있는 아버지 다얀 칸에게 도망쳤다. 다얀 칸은 우익 삼 투멘을 항복시키고 우루스 볼라트의 원수를 갚았다.[4]
1512년, 29세(혹은 23세)에 지농의 자리에 올라, 오르도스 투멘을 영유했다.[5]
1531년, 48세에 사망했고, 다음 해(1532년) 장남인 군 빌리크가 뒤를 이어 진왕이 되었다.[5] 다만, 최근에는 1519년에 30세 즈음에 사망했고, 다음 해 1520년에 군 빌리크가 진왕을 계승했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2. 1. 생애 초기
1484년에 바투몽케 다얀 카안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생일은 기록되지 않았다. 1488년생 설 또는 1490년생 설도 있다. 어머니는 만두하이 카툰이다. 만두하이 카툰이 낳은 쌍둥이 형제로 아르수볼라드가 있다. 바르수볼라드는 몽골어로 강철 호랑이라는 뜻이고, 별명인 사인 알락(сайн алаг)은 좋은 바둑판, 좋은 체크무늬라는 뜻이다.[3] 바르수볼라드의 쌍둥이 형제는 전쟁 중에 태어나 조국의 지원군, 영웅의 아들이라는 별명이 있었다. 이속기(夷俗記)의 세계표에는 사이나라(賽那剌)로 나타난다.
일설에는 남동생 아르수볼라드와 쌍둥이 형제로 태어났다고 한다. 다른 설에는 누이 투룰트 궁지와 쌍둥이 남매로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소년 시절 몽골 동부 우익의 몽골진부(满官嗔部 혹은 蒙古勒津部, 满官嗔)로 보내져 생활하다가 돌아왔다. 이부누나 이시케 공주의 남편 콰치(火篩)가 몽골진부의 영주였다. 몽골진부의 영주 타라칸(脫羅干)은 만돌 칸의 부하였고, 만돌 칸과 후처 만두하이 카툰의 둘째 딸 이시케를 타라칸의 아들 콰치와 혼인시켰다. 다얀 카안은 그를 몽골진부 콰치에게 보내 성년이 될 때까지 맡아 돌보게 하였다.
2. 2. 우익 3부의 진왕
1508년 그의 형 울루스 볼라드(Улсболд) 진왕은 오르도스의 칭기즈 칸 영묘에 참배하러 갔다가 몽골 동부 우익의 이바라이(이브라힘) 태사, 만두라이 아할라프 등에게 살해되었다. 바르수볼라드는 가까스로 탈출, 좌익의 아버지 다얀 카안에게로 피신해 이를 알렸다.[4] 투메드 투멘의 체그토부 호사이 타브넌의 집에 있던 바르수볼라드 일가는 오르도스 투멘의 코부트부 테무르 등 7명과 함께 우익을 탈출, 좌익의 아버지 바투몽케 다얀 카안에게 도망쳤다. 1512년 다얀 카안은 테무르 등 7명에게 태사와 대다르칸(大 荅剌罕) 칭호를 주고 우익 3투멘을 향해 출진, 가하이 엘리슨 전투와 대란 테리군의 전투에서 우익 3투멘을 패배시키고 항복시켜 울루스 볼라드의 원수를 갚았다. 이때 바르수볼라드는 투메드부 원정에 출전하였다.[4]
1512년 바르수볼라드는 진왕에 임명되었고, 몽골 동부 우익 3투멘(오르도스부, 투메드부, 욘시예드부)을 맡아보았다.[5] 그의 직할 영지는 허타오(河套)의 오르도스 투멘이었다. 훗날 그의 자손들은 오르도스, 투메드, 욘시예드, 하르친부를 통치하였다. 그는 아버지 다얀 카안을 따라 오이라트 원정에 출정했다. 오이라트족과 다른 몽골 부족들에 대항하는 아버지의 군사 원정에 그는 적극적으로 활동, 용맹함과 뛰어난 군사 전술로 명성을 얻었다.
2. 3. 대칸 즉위와 퇴위
1517년 다얀 칸이 죽자, 그의 삼남 바르수볼라드 사인 알라크 진왕은 다얀 칸이 후계자로 지명한 손자 보디-알라그 칸(장남 토르드 볼라드와 둘째 아들 울루스 보라트는 이미 사망)이 아직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통일된 몽골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그는 다얀 칸의 통치 기간 동안 재통일된 몽골 울루스의 번영이 더 필요하다고 우려했던 일부 몽골 노얀, 귀족들의 지지를 얻었다.[6]
그러나 3년 뒤, 보디 알라그 칸은 좌익 삼투멘을 이끌고 팔백실(나이만 차간겔, 칭기즈 칸의 영묘)에 궤배하고 왕좌에 오른 것을 선언하고, 다른 삼촌인 아르수 볼라드와 연합하여 바르수 볼라드 사인 알라크 진왕에게 격렬하게 꾸짖고 양위를 요구했다. 바르수 볼라드 사인 알라크는 골육상쟁을 피하기 위해 협상하여 보디 알라그 칸에게 왕좌를 포기했고, 보디 알라크는 8개의 흰색 방에 다시 궤배한 뒤 대칸이 되었다. 1519년 혹은 1523년 보디 알라그 칸은 그에게 지농 직책과, 몽골 우익 3투멘을 부여하였다.[6]
1531년 바르수볼라드는 세상을 떠났고, 이듬해인 1532년 그의 장남인 군빌리크가 진왕직을 계승했다.[5] 그러나 최근에는 바르수볼라트가 1519년 30세 전후로 사망하고 군빌릭이 1520년에 진왕을 계승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2. 4. 사망
1531년 48세에 사망했고, 다음 해(1532년) 장남인 군 빌리크가 뒤를 이어 진왕이 되었다.[5] 그러나 최근에는 1519년에 30세 즈음에 사망했고, 다음 해 1520년에 군 빌리크가 진왕을 계승했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바르스볼라드 진옹은 다얀 칸의 셋째 아들이었고, 다얀 칸은 자신의 손자(다얀 칸의 둘째 아들의 장남)인 보디 알라그 칸을 후계자로 지명했다. 다얀 칸 사후, 바르스볼라드 진옹은 스스로 대칸을 칭하며 보디 알라그 칸이 너무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거대한 몽골 제국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3년 후, 보디 알라그 칸은 다얀 칸의 넷째 아들과 동맹을 맺고 바르스볼라드 진옹에게 도전했다. 양측은 동족 간의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타협했고, 바르스볼라드 진옹은 왕관을 포기하고 보디 알라그 칸이 몽골의 새로운 대칸이 되었다. 몽골 대칸의 왕관을 잃은 것은 바르스볼라드 진옹에게 큰 충격이었고, 그는 곧 사망했다. 그는 알탄 칸의 아버지였으며, 알탄 칸은 북원 제국의 위대한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3. 가계
이름 | 비고 |
---|---|
군 빌리크 메르겐 진왕 | 오르도스부 투멘을 영유 |
알탄 칸 | 투메트 투멘을 영유 |
라부크 태자 | 투메트 투멘의 우신부를 영유 |
바이스하르 콘데렌 칸 | 용시에브 투멘의 7 하라친부를 영유 |
바얀다라 나린 태자 | 차하르 투멘의 차간 타타르부를 영유 |
博迪达喇鄂特罕台吉|보디다라 오토한 태자중국어 | 아스트부와 용시에브부를 영유 |
타라하이 태자 | [7] |
4. 자녀
- 군 빌리크 메르겐 진왕… 오르도스부 투멘을 영유
- 알탄 칸… 투메트 투멘을 영유
- 라부크 태자… 투메트 투멘의 우신부를 영유
- 바이스하르 콘데렌 칸… 용시에브 투멘의 7 하라친부를 영유
- 바얀다라 나린 태자… 차하르 투멘의 차간 타타르부를 영유
- 博迪达喇鄂特罕台吉|보디다라 오토한 태자중국어… 아스트부와 용시에브부를 영유
- 타라하이 태자[7]
博迪达喇鄂特罕台吉|보디다라 오토한 태자중국어에서, 허용된 템플릿인 llang 템플릿을 제외한 가링크 템플릿을 제거했다. 그 외에는 변경사항이 없으며,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고 있다.
5. 기타
북원 말기~청나라 초기 몽골인 역사가 사강 세첸은 바르수볼라드 칸의 후손이라 한다. 바르수볼라트의 아들 중 군빌리크 메르겐(ᠬᠦᠨᠪᠢᠯᠢᠭ ᠵᠢᠨᠤᠩ) 진왕이 있고, 군빌리크 메르겐의 아들은 노무탄 콩타이지이고, 노무탄 콩타이지의 아들은 호톡타이 세첸 홍타이지이다. 사강 세첸은 자신이 호톡타이 세첸 홍타이지의 후손임을 강조했다. 호톡타이 세첸 홍타이지는 티베트 불교의 장려와 오이라트 정복 전쟁에 참여하는 등의 실적을 남겼다.
호톡타이 세첸 홍타이지의 아들이 제이르두시 다한 바타르 세첸 홍타이지이고, 그의 아들은 바투 다얀 바르스 세첸 홍타이지이고 그의 아들이 사강 세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zh
http://www.cjshl.com[...]
[2]
서적
吉田
[3]
서적
岡田
[4]
서적
岡田
[5]
서적
岡田
[6]
서적
岡田
[7]
서적
岡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